동북지방통계청이 지난 12일 발표한 ‘4월 대구시 고용동향’에 따르면 대구의 고용률 증가폭이 전국에서 두 달 연속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고용률 증가) 3월: 전국 0.3%p, 대구 4.4%p / 4월: 전국 1.0%p, 대구 4.2%p
4월 기준 대구의 취업자 수는 121만 7천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8만 6천명이 증가했고 지난 2019년 4월 이후 계속 감소하던 취업자 수가 23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선 3월에 비해서도 5천여명이 증가한 수치다.
청년고용률도 전년 동분기 대비 3.3%p 증가해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용률 증가폭이 컸으며,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만 7천명이 증가한 17만 7천명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 추세를 보였다.
※ (청년취업자 수) ‘19.4월: 17만8천명 → ‘20.4월: 14만명 →‘21.4월: 17만7천명
지난해 2월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전국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대구시는 시민들의 경제심리 위축와 방역조치 강화로 소비가 줄기 시작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수출도 급감해 지역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이 조업을 중단하거나 폐업하는 등 경제 전반에 동시다발적인 충격을 받았다.
지역의 경제상황이 빠르게 악화되면서 이는 결국 일자리 감소로 이어져 지난해 3월 기준 일시 휴직자는 전년 동월 2만명에서 15만 4천명으로 689.2% 증가했고, 취업자 수는 112만 4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만명(-7.4%)이나 감소했다.
대구시는 이러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적극적이고 다양한 정책을 쏟아냈다. 지난해 고강도의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2차에 걸친 긴급생계자금을 지급하고, 소상공인 등 생존자금 지원, 금융지원 확대 등 총 4.9조원 규모로 보편지원과 선별지원을 망라한 경제방역 패키지 프로그램을 중점 추진했다.
생계·생존지원 7.1천억
|
|
금융안정대책 3.5조원
|
|
추가보강대책 7.2천억
|
긴급생계자금 2.8천억
소상공인 등
생존자금 1.7천억
특별고용지원 0.2천억
희망지원금 2.4천억
|
|
특례보증 1 조원
경영안정자금 2.2조원
유관기관협약보증 0.3조원
(市,중기부,대구은행,기보 등)
|
|
대구행복페이 3천억
임대료 감면 33억
세제감면 4천억
상하수도료 감면 130억
|
특히, 시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고용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발빠르게 고강도의 일자리 지원정책을 추진했다.
저소득층 5,406명에게 ‘코로나19 극복 공공·지역일자리’ 지원 및 전국 최초로 ‘코로나19 극복 대구형 희망일자리사업’을 시행해 실직자, 휴폐업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 16,685명에게 지하철, 버스, 어린이집 등 다중 밀집시설의 방역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방역과 경제 둘 다를 잡았다는 호평을 받았다.
또한, 청년 일자리 지원을 위해 정부 공모사업인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을 전국 2번째 규모로 추진해 지역 청년 3,229명이 일자리를 찾았으며 이로 인해 2020년 행정안전부 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고용유지를 위해 고용노동부와 협업해 26,866개사 177,599명에게 고용유지지원금을 지급해 실업을 방지했으며, 중앙부처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연장을 적극 건의하는 등 실업대책에도 총력을 기울였다.
※ 우선지원대상기업 지원비율 90% 상향 특례기간 연장(3개월/4~6월→4월~9월) 및 일반업종 최대지급일수 연장(180일→240일)
대구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취약계층 생계안정, 코로나19 방역강화, 민생경제 회복에 초점을 두고 총 3.8조원 규모로 53만명을 지원하는 일자리·긴급복지 중심의 ‘2021년 제1차 경제방역대책’을 발표해 시행하고 있으며,
|
「2021년 제1차 경제방역대책 주요내용
|
|
|
|
〇 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 1만개 추가 공급
〇 긴급복지를 통해 위기가구를 3만 5천가구까지 확대 지원
〇 여행관광업, 문화예술인, 전세버스 등 사각지대 업체당 최대 150만원 지원
〇 미취업 청년 20만원 지원 〇 공공임대료 인하와 상하수도・지방세 감면
〇 경영안정자금 지원대상 확대 〇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부담 제로화 등
|
특히, 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 사업(13,000명), 희망근로 지원사업(2,500명),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2,620명), 한국마이크로소프트사와 연계한 ‘대구 AI 스쿨’ 사업 등 일자리 창출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해 현재까지 총 11,860명에게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다.
※ ‘21.5월기준 : 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