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역 여건에 맞는 공공건축가 제도 도입을 위해 건축전문가 단체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대구형 공공건축 JUMP UP 체계’를 구축하고 올해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대구형 공공건축 JUMP UP 체계는 그동안 공공건축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획과정 중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해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와 논의를 통해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 대구형 공공건축 JUMP UP 체계 >
대구시는 지역을 대표하는 건축전문가 단체인 ▲대한건축사협회 대구광역시건축사회(회장 공정섭) ▲대한건축학회 대구‧경북지회(회장 강주원) ▲한국건축가협회 대구경북건축가회(회장 이상홍) 등과 공공건축 지원 업무협약을 작년 9월에 체결했으며 이들 단체에서도 사업의 필요성에 함께 공감해 경쟁력 있는 민간 건축전문가를 지원하는 등 사업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올해 추진하는 시범사업은 중구 대안동 ‘건축자산통합관리센터’와 ‘달서구 든들S(senior)센터’ 등 도시재생사업 구역 내 공공건축 2개소로 역량 있는 민간전문가 각 2명씩 참여해 공공건축 기획업무 전반에 걸쳐 자문 및 기술지원을 하게 되며, 2022년부터 사업대상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2021년 대구형 공공건축 JUMP UP 시범사업 : 2개소 >
사 업 명
|
위 치
|
규 모
|
참여 민간전문가
|
협업단체
|
건축자산
통합관리센터
|
중구 대안동 34
외 1필지
|
지하1층, 지상4층
공사비 30억원
|
이인건축 정형봉
가온건축 성모경
|
대구광역시
건축사회
|
든들S(senior)
센터
|
달서구 송현동 295-64 외 5필지
|
지하1층, 지상3층
공사비 50억원
|
㈜인터건축 양성용
건축사사무소 도노바 김영화
|
대구경북
건축가회
|
김창엽 대구시 도시재창조국장은 “공공건축 기획은 도시의 가치와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 삶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라며, “지역 건축계와 한마음으로 추진하는 이번 시범사업이 공공건축가 제도의 새로운 롤모델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